'그럴듯하다' vs '그럴 듯하다', 띄어쓰기 정답은?

자주 헷갈리는 '그럴듯하다' 띄어쓰기, 왜 붙여 써야 할까요? 보조 용언 띄어쓰기 원칙과 함께 합성어 예외 규정을 쉽게 정리했습니다. 지금 바로 띄어쓰기 오류를 해결하고 글쓰기 실력을 향상시켜 보세요!
HYEWON's avatar
Nov 21, 2025
'그럴듯하다' vs '그럴 듯하다', 띄어쓰기 정답은?

핵심 요약

  • '제법 그렇다고 여길 만하다'는 '그럴듯하다'붙여 씁니다. (합성어)
  • '본용언+보조 용언' 구 구성일 때는 '그럴 듯하다'띄어 쓰는 것이 원칙입니다.
  • 근거: 한글맞춤법 제47항 (보조 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붙여 쓸 수 있음)

"그럴듯하다"와 "그럴 듯하다”

notion image

1. 합성어: '그럴듯하다'로 붙여 쓰는 경우

'그럴듯하다''제법 그렇다고 여길 만하다' 또는 '겉모습이 훌륭하다'하나의 형용사(합성어)로 쓰일 때는 반드시 붙여 써야 합니다.
  • 핵심 의미: 훌륭함, 괜찮음, 수긍할 만함.
  • 예시: 그는 그럴듯한 외모를 지녔다.
  • 대체 가능 표현: '그의 계획은 괜찮다.' (이 경우 항상 붙여 씀)

2. 본용언+보조 용언 구: '그럴 듯하다'로 띄어 쓰는 경우

'그렇다'라는 본용언 뒤에 ‘듯하다'라는 보조 용언이 붙어 추측이나 짐작의 의미를 나타낼 때는 띄어 쓰는 것이 원칙입니다.
  • 핵심 의미: ~할 것 같다, ~인 듯하다.
  • 예시: 그 사람이라면 충분히 그럴 듯하다. (띄어 씀이 원칙)
  • 허용 규정: 한글맞춤법 제47항에 따라, 혼란을 피하기 위해 붙여 쓰는 것도 허용됩니다. (예: 그럴듯하다)

한눈에 정리

구분
그럴듯하다 (합성어)
그럴 듯하다 (보조 용언 구)
핵심 의미
제법 그렇다고 여길 만함 (훌륭함, 괜찮음)
추측, 짐작 (~할 것 같다, ~인 듯하다)
원칙 표기
붙여 씀
띄어 씀
예외 허용
없음 (항상 붙여야 함)
붙여 쓰는 것 허용됨
문법 역할
하나의 형용사
본용언('그럴') + 보조 용언('듯하다')
예시
그럴듯한 변명에 속았다.
그 사람이라면 그럴 듯하다고 생각한다.

💬 자주 묻는 질문

  • Q. '그럴 듯하다'를 무조건 붙여 써도 될까요?
    • A. 추측의 의미일 경우(그럴 듯하다), 한글맞춤법상 붙여 쓰는 것이 허용되므로 혼란을 피하기 위해 모두 붙여 쓰는 것도 실용적인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 Q.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 A. 본용언과 보조 용언은 원래 별개의 단어이므로 띄어 쓰는 것이 한글맞춤법의 대원칙입니다. 붙여 쓰는 것은 예외적인 허용 규정입니다.

📌
암기 포인트
합성어/훌륭함붙여 씀 ('그럴듯하다'가 정답)
추측/짐작띄어 씀이 원칙
새로운 글쓰기의 시작, 센텐시파이를 무료로 경험해보세요!

Focus on the big picture. We'll perfect the details.

Share article

SENTENCIF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