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 같은' vs '금쪽같은', 띄어쓰기가 다른 이유

'하늘 같은'처럼 띄어 쓰고, '감쪽같은'은 붙여 쓰는 이유! '같은'의 품사와 단어의 결합 방식에 따른 띄어쓰기 규칙을 명확하게 설명합니다.
HYEWON's avatar
Nov 20, 2025
'하늘 같은' vs '금쪽같은', 띄어쓰기가 다른 이유

핵심 요약

  • '같은'은 기본적으로 앞말과 띄어 씁니다. (예: 하늘 같은)
  • 근거: '같은'은 형용사 '같다'의 관형사형으로, 독립된 단어이므로 띄어쓰기 원칙을 따릅니다.
  • 다만, 합성 형용사로 굳어진 경우는 붙여 씁니다. (예: 감쪽같은)

'같은'의 띄어쓰기, 무엇이 맞을까?

문서를 작성할 때 "너랑{같은/같은} 의견이야" 사이에서 망설인 경험, 다들 있으시죠? 정답은 '같은'의 품사(형용사)와 단어의 결합 방식에 달려 있습니다. 오늘 센텐시파이가 '같은'의 띄어쓰기 원칙을 깔끔하게 정리해 드립니다.

1) '같은' — 앞말과 띄어 쓰는 경우 (원칙)

  • 원칙: 형용사 '같다'의 관형사형이므로, 독립된 단어로서 앞말과 띄어 씁니다.
  • 근거: 한글맞춤법 제2항에 따라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합니다.
  • 쓰임: 다른 것과 비교하여 그것과 다르지 않다는 의미로 활용될 때.
  • 예문:
    • 백옥 같은 피부
    • 하늘 같은 은혜
    • 너와 같은 생각

2) '같은' — 앞말에 붙여 쓰는 경우 (예외/특례)

  • 원칙: 체언에 '같다'가 결합하여 하나의 합성 형용사로 굳어진 경우에는 붙여 씁니다.
  • 쓰임: 관용적으로 한 단어처럼 굳어져 새로운 의미를 나타낼 때.
  • 예문:
    • 감쪽같은 거짓말
    • 금쪽같은 내 새끼
    • 같은 시간
    • 한결같은 마음
  • 왜 붙여 쓸까?: 이 단어들은 '감쪽', '금쪽' 등의 체언과 결합하여 원래의 '같다'는 의미를 넘어 하나의 단어처럼 쓰인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notion image

한눈에 비교

구분
띄어 씀 (원칙)
붙여 씀 (예외/특례)
품사
'반듯하다'와 의미적 관련성이 있음
'반듯하다'와 의미적 관련성이 없음/멀어짐
핵심 판단
비교/상태를 나타내는 일반적인 용례
관용적으로 굳어져 하나의 단어가 된 용례
대표 예시
너와 같은 의견
감쪽같은 마무리
규정
한글맞춤법 제2항 (단어는 띄어 쓴다)
한글맞춤법 총칙 (하나의 단어는 붙여 쓴다)

이렇게 판단해 보세요

  1. 합성어 확인: 단어가 '감쪽같다', '금쪽같다' 등 관용적으로 한 단어로 사전에 등재된 경우가 아닌가? → 아니면 띄어 씀
  1. '같다'의 본래 의미 확인: 앞말과 비교하는 의미만 남아있는가? → 띄어 씀

FAQ

  • Q. '같은'을 무조건 띄어 쓰면 되나요?
    • A. 일반적인 문장에서는 띄어 쓰는 것이 맞지만, '감쪽같다', '한결같다'처럼 합성 형용사로 굳어진 단어의 활용형('감쪽같은', '한결같은')은 붙여 써야 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 Q. '처럼'과 '같이'는 어떻게 되나요?
    • A. '처럼'은 조사이므로 앞말에 붙여 씁니다. '같이'는 상황에 따라 조사 또는 부사로 쓰일 수 있는데, 대개 조사로 쓰이면 붙여 쓰고, 부사로 쓰여 '함께'의 의미일 때는 띄어 씁니다. ('같은'과는 규칙이 다릅니다.)
  • Q. 글쓰기 시 합성 형용사 구분이 어렵습니다. 팁이 있을까요?
    • A. '금쪽같은 내 새끼', '꿈같은 이야기'처럼 일상에서 매우 자주 굳어져 사용되는 표현들만 따로 외워두는 것이 가장 빠릅니다. 나머지는 기본 원칙대로 ‘띄어 쓰기'를 적용하면 됩니다.

📌
암기 포인트
  • 원칙: 일반적인 비교/상태 → 띄어 씀 ('하늘 같은')
  • 예외: 관용적 합성어 → 붙여 씀 ('감쪽같은')
오늘 알아본 내용처럼 헷갈리는 표현이 정말 많죠? 혼자 고민하지 마세요. 센텐시파이가 여러분의 문장을 더 정확하게 다듬어 드립니다.
새로운 글쓰기의 시작, 센텐시파이를 무료로 경험해보세요!

Focus on the big picture. We'll perfect the details.

Share article

SENTENCIF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