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서’와 ‘~로써’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자격·신분은 로서, 수단·도구·원인·끝맺음은 로써. 치환 테스트와 대표 예문, ‘말로써’ ‘오늘로써’ 등 헷갈리는 사례까지 정리
Chanyoung's avatar
Oct 17, 2025
‘~로서’와 ‘~로써’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핵심 요약

  • 자격·신분·입장 → 로서
  • 수단·도구·원인·끝맺음 → 로써
  • 치환 테스트로 검증: “자격으로”가 자연스러우면 로서, “사용해/통해/로 인해”가 자연스러우면 로써

notion image

-로서 한눈에 요약

  • 의미: 자격. 지위. 신분. 입장. “as”
  • 빠른 테스트: “~의 자격으로/입장으로”로 바꿔 자연스러우면 로서
  • 대표 예문
    • 전문가로서 책임을 다하겠습니다. 자격
    • 교사로서 학생의 성장을 돕는다. 자격
    • 시민으로서 의무를 이행해야 한다. 자격
notion image

-로써 한눈에 요약

  • 의미: 수단. 도구. 방법. 원인. 끝맺음. “with/by/using”
  • 빠른 테스트: “~을 사용해/통해, ~로 인해”로 바꿔 자연스러우면 로써
  • 대표 예문
    • 말로써 상처를 주지 말자. 수단
    • 노력으로써 한계를 넘었다. 원인·수단
    • 펜으로써 서명을 완료했다. 도구
    • 오늘로써 프로젝트를 마무리한다. 끝맺음
    • 이것으로써 모든 설명을 마칩니다. 강조·마무리
    •  
      notion image

FAQ

  • Q. ‘-로서’와 ‘-로써’의 가장 쉬운 구분법은?
    • “자격이면 로서, 수단이면 로써.”
  • Q. “말로서”도 가능한가요?
    • 정체성·자격 의미라면 가능. 일반적으로는 수단 의미의 “말로써” 권장.
  • Q. 시간 표현에서는?
    • 끝맺음을 나타낼 때 “오늘로써, 이달로써”가 자연스럽습니다.
    •  

📌
‘~로서’는 자격·신분·입장을 뜻해 “~의 자격으로/입장으로”로 바꿔 자연스러우면 적절합니다.
‘~로써’는 수단·도구·원인·끝맺음을 뜻해 “~을 사용해/통해/로 인해”로 바꿔 자연스러우면 맞습니다.
헷갈리는 예는 ‘말로써(수단)’, ‘오늘로써 마무리(끝맺음)’, ‘전문가로서 책임(자격)’처럼 의미에 따라 구분하세요.
 
오늘 알아본 내용처럼 헷갈리는 표현이 정말 많죠? 혼자 고민하지 마세요. 센텐시파이가 여러분의 문장을 더 정확하게 다듬어 드립니다.
새로운 글쓰기의 시작, 센텐시파이를 무료로 경험해보세요!

Focus on the big picture. We'll perfect the details.

 
Share article

SENTENCIF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