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주 틀리는 우리말, '그제야'와 '그제서야' 바르게 쓰기!

자주 틀리는 맞춤법 실수 방지! '그제야'와 방언인 '그제서야'의 차이를 명확히 구분하고 정확하게 사용하는 팁을 얻으세요.
HYEWON's avatar
Nov 12, 2025
자주 틀리는 우리말, '그제야'와 '그제서야' 바르게 쓰기!

핵심 요약

  • '그제야'는 '앞에서 이야기한 바로 그때에 이르러서야 비로소'를 뜻하는 표준어입니다.
  • '그제서야'는 '그제야'의 방언이거나, '그저께'의 준말 '그제'에 '서야'가 붙은 형태로 적절하지 않습니다.
  • 표준적 표현 → '그제야' / 비표준적 표현 → '그제서야'

‘그제야’ VS ‘그제서야’ 무엇이 옳은 표현일까?

그제야 (표준어) ⭕

'앞서 말한 그때에 이르러서야 비로소'라는 의미를 가진 부사

예시
"몇 번 항의를 하니 그제야 문제가 바로잡혔다."

핵심 포인트
어떤 행동이나 변화가 시간이 지나 마침내 이루어졌음을 나타낼 때 쓰는 표준어입니다.
 

그제서야 (비표준어) ❌

그제야'의 방언이거나, '그저께'를 뜻하는 '그제'에 서야가 붙어 만들어진 표현으로 해당 맥락에 적절하지 않음

예시
"수많은 시행착오 끝에 그제서야(X) 해결책을 찾았다."

핵심 포인트
표준국어대사전에서 '그제야'를 표준어로 규정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의미로 '그제서야'를 쓰는 것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notion image

📋 활용 가이드

  • 시간적 경과 후의 깨달음/결과:그제야 '그때에 이르러서야 비로소'라는 의미로 사용할 때는 '그제야'를 쓰는 것이 올바른 표현입니다.
  • 문어체나 구어체 모두 '그제서야' 대신 '그제야'를 사용하여 글의 정확성을 높여야 합니다.

💬 자주 묻는 질문

  • Q. '그제야'와 '그제서야'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문맥은 없나요?
    • A. 네. 문장 목적이 다르면 둘 다 가능해요. ‘응답어’면 아니요, ‘서술 종결’이면 아니오를 쓰면 됩니다.
  • Q. '그제'가 '그저께'라는 뜻으로 쓰일 때는 어떻게 구분하나요?
    • A. '그제'가 '그저께'라는 뜻일 때는 주로 시간 부사로 단독으로 쓰입니다. "그제 비가 왔다."와 같이 쓰이며, 이때 '비로소'의 의미를 가진 '그제야'와는 의미 자체가 다릅니다.
  • Q. '그제서야'가 생겨난 이유는 무엇인가요?
    • A. '그때서야'처럼 '-서야' 형태가 자연스럽게 붙는 다른 표현들의 영향이나 방언적 습관으로 인해 '그제서야'가 사용되는 것으로 추정되나, 이는 표준어 규정과는 무관합니다.

📌
'앞선 시점에 이르러 비로소'라는 의미로 쓸 때는 '그제야'가 표준어이며, '그제서야'는 비표준어라는 것을 기억하세요.
새로운 글쓰기의 시작, 센텐시파이를 무료로 경험해보세요!

Focus on the big picture. We'll perfect the details.

Share article

SENTENCIF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