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엾다' vs '가엽다', 둘 다 표준어라고요?

99%가 틀리는 '가엾다'의 활용형은? '가여운/가여워'처럼 '가엾다'도 활용하는지 궁금하다면? 규칙 활용과 불규칙 활용의 비밀을 파헤칩니다.
HYEWON's avatar
Nov 20, 2025
'가엾다' vs '가엽다', 둘 다 표준어라고요?

핵심 요약

  • '가엾다'와 '가엽다' 모두 표준어입니다. (복수 표준 인정)
  • 근거: 표준어규정 제26항에 따라, 한 가지 의미를 나타내는 형태가 여러 가지 널리 쓰일 때 모두 표준어로 인정합니다.
  • 다만, 활용형이 다르므로 '가엾은/가엾어' (규칙)와 '가여운/가여워' (ㅂ 불규칙)를 구별해야 합니다.

"가엾다"와 "가엽다" 모두 올바른 표준어입니다!

notion image
  • 많은 분들이 '가엾다'와 '가엽다' 중 어느 것이 맞는지 헷갈리시죠? 정답은 둘 다 표준어라는 것입니다. 이 두 단어는 표준어 규정에 따라 복수 표준어로 인정된 표기입니다.
  • 이 두 단어는 하나의 의미를 나타내지만, 활용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구분에 주의해야 합니다.

'가엾다'와 '가엽다'의 의미 및 활용

구분
'가엾다' (규칙 활용)
'가엽다' (ㅂ 불규칙 활용)
표준어 여부
O (표준어)
O (표준어)
활용 원칙
어간이 변하지 않는 규칙 활용
어간의 'ㅂ'이 '우'로 변하는 ㅂ 불규칙 활용
대표 활용형
가엾, 가엾
가여, 가여
예문
그 고아는 가엾은 처지에 놓였다.
그 노인은 가여운 모습으로 서 있었다.
[tʃ] 발음: 모음 앞에서 'ㅊ'으로 표기됩니다.
둘째 음절의 모음: 'ㅗ'로 발음하는 경향을 존중합니다.
어중의 [l] 발음: 모음 앞에 올 때 'ㄹㄹ'로 적습니다.
마지막 모음: 발음상 [ɪ]와 [ə]가 함께 발견될 경우 약화된 [ə]보다는 [ɪ]를 기준으로 '이'로 적습니다.
notion image

📋 활용 가이드

  • 표준어 인정: 일상적인 말하기·쓰기, 문서 작성 시 모두 '가엾다' 또는 '가엽다' 둘 중 아무거나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 활용 주의: 다만, 활용할 때 '가엾는', '가여븐' 등 잘못된 형태로 섞어 쓰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규칙/불규칙 활용 구분 필수)
  • 대표 활용 외우기: '가엾은'과 '가여운'만 외워도 대부분의 활용 실수를 피할 수 있습니다.

예문

그를 보니 마음이 가여워 눈물이 났다.
가엾은 아이를 도와주세요.
나는 그들의 딱한 사정이 가엾게 느껴졌다.

💬 자주 묻는 질문

  • Q. '가엾다'와 '가엽다' 중 하나만 써야 하나요?
    • A. 아닙니다. 표준어 규정에 따라 두 가지 형태가 모두 표준어로 인정되므로, 둘 중 원하는 표현을 자유롭게 사용하시면 됩니다.
  • Q. '가여운'처럼 '가엾다'도 불규칙 활용을 하나요?
    • A. 아닙니다. '가엾다'는 어간이 변하지 않는 규칙 활용을 하고, '가엽다'만 'ㅂ'이 '우'로 바뀌는 ㅂ 불규칙 활용을 합니다.
  • Q. 글쓰기 시 활용형 때문에 자주 헷갈리는데,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 A. 형용사/동사의 활용형을 찾아보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습니다. 국립국어원 규정이나 센텐시파이와 같은 AI 글쓰기 도구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습니다.

📌
암기 포인트
  • 표준어는 '가엾다'와 '가엽다' 모두 OK!
  • 활용 시 '가엾은/가엾어' (규칙) vs '가여운/가여워' (ㅂ 불규칙)를 구별!
오늘도 헷갈리는 표현, 간단히 정리 끝! 센텐시파이가 여러분의 문장을 더 정확하고 매끄럽게 다듬어 드립니다.
새로운 글쓰기의 시작, 센텐시파이를 무료로 경험해보세요!

Focus on the big picture. We'll perfect the details.

 
Share article

SENTENCIF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