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숙지 vs 익숙치 한눈에 비교: 표준 표기, 톤, 예문 체크리스트
“익숙지”와 “익숙치”의 차이를 표준 맞춤법 기준으로 정리했습니다. 보고서·이메일 등 업무 문서에서 어떤 표기가 맞는지, 예문·판단 요령·FAQ까지 한눈에 확인하세요.
Oct 28, 2025
‘익숙지’ vs ‘익숙치’, 무엇이 맞을까?
.png%253FspaceId%253Deff417f1-23ec-816d-b452-0003031c1632%3Ftable%3Dblock%26id%3D29a417f1-23ec-8077-97b7-d2939a61da8c%26cache%3Dv2&w=1920&q=75)
대화체에서는 “익숙치 않다”도 흔히 보이지만, 보고서·이메일처럼 표준 맞춤법이 필요한 문서에서는 ‘익숙지 않다’가 원칙입니다. 본 글은 규정 근거, 쓰임 차이, 업무 문서 적용 팁을 한 번에 정리합니다.
1) 핵심 규칙 — ‘-지 않다’ 부정 규칙 유지
- 한국어의 기본 부정 형태는 동사/형용사 + 지 않다
- ‘익숙하다’의 부정은 익숙하지 않다 또는 축약형 익숙지 않다
- ‘치’는 발음상 동화에서 온 구어 흔적일 뿐, 문어 표기에서는 권장되지 않음
2) 표기별 쓰임과 톤
- 익숙지 않다: 표준. 문어적. 보고서, 공문, 제안서, 매뉴얼 등 사용 권장
- 익숙치 않다: 구어·비표준적 느낌. 댓글, 메신저 등 캐주얼 맥락에서 관용적으로 사용되나 업무 문서는 지양
3) 예문으로 확인하기
- 보고서: “해당 툴에는 아직 익숙지 않다 보안 위험이 있다.”(O) → “익숙치 않다”(지양)
- 이메일: “신규 프로세스에 팀이 익숙지 않아 온보딩이 필요합니다.”(O)
.png%253FspaceId%253Deff417f1-23ec-816d-b452-0003031c1632%3Ftable%3Dblock%26id%3D29a417f1-23ec-80c8-b89b-d779693f025e%26cache%3Dv2&w=1920&q=75)
한눈에 비교
구분 | 익숙지 않다 | 익숙치 않다 |
표준어 여부 | 표준, 문어 권장 | 구어적·비표준적 느낌, 문어 지양 |
형태론 | 형용사+지 않다(정규 부정) | ‘지’가 발음 영향으로 ‘치’로 변이 |
주 사용처 | 보고서, 공문, 제안서, 매뉴얼 | 대화·댓글 등 비공식 맥락 |
대체표현 | 익숙하지 않다 | — |
예문 | “신규 시스템에 익숙지 않다.” | “신규 시스템에 익숙치 않다.”(지양) |
이렇게 판단해 보세요
- 문어·업무 문서, 대외 커뮤니케이션 → 항상 ‘익숙지 않다’
- 캐주얼 채널(메신저·SNS) → ‘익숙치 않다’ 사용 가능하나 브랜딩·톤앤매너에 맞춰 신중히
- 더 공손하게 → “아직 충분히 익숙하지 않습니다”로 완전형 사용
FAQ
Q. ‘익숙하지 않다’와 ‘익숙지 않다’ 차이는?
- 의미는 동일합니다. 전자는 완전형, 후자는 축약형으로 문어에서도 모두 허용됩니다.
Q. 보도자료·공문에서는 어떤 형태가 더 좋은가요?
- 보수적 톤이라면 ‘익숙하지 않다’를, 간결한 스타일이면 ‘익숙지 않다’를 권장합니다.
Q. ‘익숙치 않다’를 써야 더 자연스러울 때가 있나요?
- 구어 리얼리티가 필요한 카피·대화 재현 등에서 제한적으로 가능하지만, 원칙은 ‘익숙지’입니다.
Q. 교정 시 자동 치환 기준은?
- ‘익숙치’ → ‘익숙지’로 일괄 치환. 문맥이 격식 높음이면 ‘익숙하지’까지 확장 치환.
기억 포인트
- 문어 표준: 익숙지/익숙하지 않다
- 캐주얼·구어: 익숙치 않다(지양)
- 업무 문서 기본값: 익숙지
오늘 알아본 내용처럼 헷갈리는 표현이 정말 많죠?
혼자 고민하지 마세요. 센텐시파이가 여러분의 문장을 더 정확하게 다듬어 드립니다.
새로운 글쓰기의 시작, 센텐시파이를 무료로 경험해보세요!
Focus on the big picture. We'll perfect the details.
Share articl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