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드시' vs '반듯이', 뭐가 맞을까?

틀림없이 '반드시'일까, 바르게 '반듯이'일까? 두 단어의 미묘한 차이를 알고 문장을 간결하고 정확하게 만드세요.
HYEWON's avatar
Nov 20, 2025
'반드시' vs '반듯이', 뭐가 맞을까?

핵심 요약

  • '틀림없이 꼭'을 뜻하는 경우: '반드시' (소리대로 적음).
  • '비뚤어지지 않고 바르게'를 뜻하는 경우: '반듯이' (어근을 밝혀 적음).
  • 근거: 한글맞춤법 제25항 – '-하다'가 붙는 어근에 '-이'가 붙어 뜻이 유지되면 원형을 밝힙니다.

'반드시' vs '반듯이', 무엇이 맞을까?

자료를 정렬하라는 업무 지시를 하거나 문서를 쓸 때, '반드시'와 '반듯이' 중 어떤 단어를 써야 할지 헷갈렸던 경험, 다들 있으시죠? 핵심은 '의미'에 따라 구별하여 사용하는 것인데요. 센텐시파이에서 두 표현의 의미와 한글 맞춤법 기준을 명쾌하게 알려드립니다.

1) '반듯이' — 형태를 밝혀 적는 올바른 표기

notion image
  • 원칙: 형용사 '반듯하다'의 어근 '반듯'에 부사화 접미사 '-이'가 붙은 형태로, '반듯하다'의 뜻(바르다, 기울지 않다)이 살아있는 경우 형태를 밝혀 '반듯이'로 적습니다.
  • 쓰임: '바르게', '똑바로', '흐트러지지 않게'의 의미로 활용될 때.
  • 예문:
    • 자세를 반듯이 하세요. (바르게)
    • 종이를 반듯이 접다. (비뚤어지지 않게)
    • 줄을 반듯이 맞추어 서다. (똑바로)

'반드시' — 소리대로 적는 표기

notion image
  • 원칙: '반듯하다'의 뜻과 무관하게, '틀림없이 꼭', '기어이'라는 독립적인 의미로 사용될 때, 어근을 밝히지 않고 소리 나는 대로 '반드시'로 적습니다.
  • 쓰임: 의무, 필연, 강한 확신을 나타낼 때.
  • 왜 이렇게 적을까?: '틀림없이'라는 뜻은 '반듯하다'(바르다)는 뜻과 관련이 멀어졌다고 판단하여, '반드시'는 소리 나는 대로 적도록 규정했습니다.

한눈에 비교

구분
'반듯이' (원형을 밝힘)
'반드시' (소리대로 적음)
원칙
'반듯하다'와 의미적 관련성이 있음
'반듯하다'와 의미적 관련성이 없음/멀어짐
핵심 의미
바르게, 곧게, 흐트러지지 않게
틀림없이, 꼭, 기어이
규정
한글맞춤법 제25항 (어근 유지)
한글맞춤법 제25항 (어근과 무관)
대표 예시
줄을 반듯이 서다 (바르게)
숙제를 반드시 해라 (꼭)

이렇게 판단해 보세요

  1. 의미 대입: 문맥에 '똑바로/바르게'를 넣어도 자연스러운가? → '반듯이'
  1. 의미 대입: 문맥에 '틀림없이/꼭'을 넣어도 자연스러운가? → '반드시'
  1. 시각적 요소 확인: 자세, 선, 정렬 등 물리적인 곧음과 관련 있는가? → '반듯이'

💬 자주 묻는 질문

  • Q. '반드시'는 왜 '반듯'이라는 형태를 밝히지 않나요?
    • A. '반드시'는 '반듯하다'가 가진 '곧다'는 뜻과는 완전히 무관하게 '꼭'이라는 의미로 굳어졌기 때문에, 한글맞춤법 규정에 따라 소리 나는 대로 적습니다.
  • Q. '반드시'와 '꼭'을 같이 써도 되나요?
    • A. 둘 다 '틀림없이'라는 의미를 가지므로 함께 쓰면 의미 중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반드시 꼭 제출하세요"보다는 "반드시 제출하세요"가 더 자연스럽습니다.
  • Q. 글쓰기 시 헷갈릴 때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팁은 무엇인가요?
    • A. 자세를 고쳐 잡을 때는 '반듯이' (눈으로 보이는 모양), 다짐이나 의무를 말할 때는 '반드시' (확신)를 떠올려 구별하는 것이 가장 빠릅니다.
📌
암기 포인트
  • 바르게/똑바로'반듯이' (반듯하다의 뜻이 살아있음)
  • 틀림없이/꼭'반드시' (뜻이 멀어짐, 소리대로 적음)

오늘도 헷갈리는 표현, 간단히 정리 끝! 센텐시파이가 여러분의 문장을 더 정확하고 매끄럽게 다듬어 드립니다.
새로운 글쓰기의 시작, 센텐시파이를 무료로 경험해보세요!

Focus on the big picture. We'll perfect the details.

 
Share article

SENTENCIFY